직원의 휴직 설정에 대하여 안내합니다.
휴직 설정 기간중의 직원은, 직원 목록(재직)이나 일단위 스케줄에도 이름이 표시됩니다.
출근부 일괄 다운로드, 근무 데이터 다운로드도 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설정 방법
1. 직원 관리→직원 목록에서
재직으로 설정하고 싶은 직원의 이름을 클릭 후, 【직원 상세】화면으로 이동해 주세요.
2. 【재적 상황】이라는 항목에, 【휴직 설정】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므로,
해당 문자를 클릭하여, 휴직 이력 화면으로 이동해 주세요.
3. 【휴직 추가】를 클릭하여, 설정 화면으로 이동해 주세요.
4. 각 항목을 설정해 주세요.
・휴직기간
휴직할 기간을 설정해 주세요.
・휴직이유
휴직 이유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지에서 선택해 주세요.
・휴직중의 근무스케줄
휴직 기간중에 근무스케줄이 할당된 경우,
「근무일에서 제외」또는 「출근으로 처리」를 선택해 주세요.
※유급휴가 자동 부여 설정이「이용하기」로 설정된 경우에만, 「휴직중의 근무스케줄」항목이 표시됩니다.
「이용하지 않는다」의 경우, 「휴직중의 근무스케줄」항목 자체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비고
메모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휴직 이유 항목】
재직 이유 |
설정 가능한 선택지 |
미선택 |
근무일에서 제외/출근으로 처리(선택 가능) |
업무상 재해에 의한 휴직 | 출근으로 처리(고정) |
개인사유에 의한 변가휴직 | 근무일에서 제외/출근으로 처리(선택 가능) |
산전산후휴직 | 출근으로 처리(고정) |
육아휴직 | 출근으로 처리(고정) |
간병 휴직 | 출근으로 처리(고정) |
그 외 |
근무일에서 제외/출근으로 처리(선택 가능) |
※법률에 의거한 휴직 이유에 대해서는,「출근으로 처리」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업무상의 상해에 의한 휴업 등
근무일에서 제외: 휴직 기간중의 근무스케줄이 할당된 날을 유급휴가 자동 부여의 「출근일수」「출근해야하는 일수」로 카운트하지 않습니다.
출근으로 처리:휴직 기간중의 근무스케줄이 할당된 날을 유급휴가 자동 부여의 「출근일수」「출근해야 하는 일수」로 카운트합니다.
또한, 근무 데이터 다운로드의 「휴직중의 정규근무일수」로도 카운트합니다.
※「휴직중의 정규근무일수」는 유급휴가 자동 부여 설정이 「이용하기」로 설정된 경우에만 카운트됩니다.
5. 4. 설정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휴직 이력】에 설정한 휴직 설정이 추가됩니다.
설정 후에도 【수정】을 통해 편집이 가능합니다.
출근부(지정일)의 표시
【출근 관리】탭을 클릭하면, 출근부(지정일)화면이 표시됩니다.
휴직 설정을 실시한 직원을 확인하면,
근무스케줄 정보나 근무 시간 등의 기입란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위 스케줄(월)에서 표시
근무스케줄 관리→근무스케줄 작성→일단위 스케줄(월)에서 휴직 설정을 실시한 직원을 검색하면,
설정한 휴직 기간중에 대하여 근무스케줄 정보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
휴직 설정, 직원 상세